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CCNP

[150822] CCNP SWITCH 개념정리 - 1

반응형

[150822] CCNP SWITCH 개념정리 - 1

 

이번 포스팅에서는 CCNP SWITCH에서 출제되는 필기문제와 관련한 개념을 다룬다.

아무래도.. 문제 진행순서 상으로 개념이 나올것 같아, 특정한 흐름은 없긴 하겠지만

어쨌든 시작해보자.

 

 

 

 

1.EtherChanel

 

 

 

EtherChanel(이하 이더채널)이란, 스위치와 스위치 혹은 스위치와 호스트 간의 링크가 2개 이상 존재할 때, 이를 하나의 논리적 포트로 묶어서 다루는 개념이다.

 

이더 채널을 사용하는 이유는 대역폭을 링크 수만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과

 

이중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이더채널 프로토콜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Cisco 사 Switch에서 지원하는 PAgP

 

IEEE의 표준인 LCAP

 

프로토콜에 따라서 설정방법이 다소 달라지는데,

 

일단 트렁크포트로 연결하는 설정까지는 두 프로토콜의 config가 같다.

 

 

SW1#conf t

SW1(config)#inteface range fa0/0 - fa0/1

SW1(config-if-range)#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1(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이 다음부터 프로토콜에 따라 config가 갈린다.

 

2-1. PAgP config

SW1(config-if-range)#chanel-group 1 mode desirable

 

2-2.LCAP config

SW1(config-if-range)#chanel-group 1 mode active

 

위와 같이 정리할 수 있는데, 두 스위치 간의 이더채널 프로토콜은 같거나 없어야만 원활한 연결이 가능하다.

빨갛게 표시한 부분이 프로토콜마다 가진 config 방식이 다른 부분인데,

 

 

 

PAgP 

LCAP 

on 

on 

desirable 

active 

 auto

passive 

 

 여기서 desriable / active 는 이더채널 프로토콜에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동작하는 모드

auto / passive 정보를 수신만 하기 위해 대기하는 모드

on 의 경우는 프로토콜 없이 진행하는 모드 인데, 표 표현상 구분이 애매해 일단 같이 넣었다.

 

각 모드들을 살펴보면, 두 스위치 설정을 잘 고려해야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같은 프로토콜 상에서

[auto / passive] <-> [auto / passive]

연결은 불가능

 

 

같은 프로토콜 상에서

[desirable / active] <-> [desirable / active]

 OR

[desirable / active] <->[auto / passive]

연결은 가능

 

 

on 모드의 경우,

[on] <-> [on]

 연결만 가능

 

 

 

 

2.RSTP

 

 

 STP에서 Fowarding 까지의 소요시간이 지나치게 오래걸리는 점을 보완하고,

시스코 사에서 개발했지만 현재 표준등록된 기술이다.

 

토폴로지 상에서 STP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그냥 진행하자!

 

RSTP와 STP의 차이점은 포트 모드에서 발생하는데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RSTP 

STP 

Discarding 

Blocking 

Discarding 

Listening 

Learning

Learning 

Fowarding 

Fowarding 

 

 

RSTP는 STP의 상위 프로토콜로 Fowarding 상태에 들어가기까지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을,

 

Learning 시간 단축, Discarding -> Fowarding 시간 단축 등으로

 

대략 4~50초가 소요되던 것을 1~4초로 줄여서 빠른 컨버전스를 확보했다.

 

링크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RSTP 초기화하는 방식이 STP와 다소 다른데,

 

이는 추후 다른 포스팅에서 다룰 것이다.

 

 

3.StackWise

 

 

StackWise는 스위치 또는 라우터 등을 랙에 장착해 백플레인을 지원하는 단일 장비로 구현

 

온라인 기술 지원이나, 스택 중 일부 장비에 문제가 생겨도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

 

자세한 설명

 

http://www.cisco.com/web/KR/products/pc/switches/3750/stackwisetech.pdf

 

 

 

4.UDLD

 

 UniDirectional Link Detection 의 약자인 UDLD는 단방향 연결 탐지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링크에서 양 쪽의 인터페이스는 서로 신호를 주고 받는 양방향 연결이 진행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오류가 존재하는데

 

UDLD는 장비 간의 Hello packet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를 shutdown 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5.VTP

 

 

 

VTP는 Cisco 사의 프로토콜로 VLAN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이다.

 

스위치마다 특정 역할을 맡아 VLAN 정보를 공유하고 상황에 따라서 업데이트하는 방식인데, 스위치가 가질 수 있는 VTP 모드에는 다음 표와 같이 3가지가 있다.

 

 

VTP SERVER MODE

VTP CLIENT MODE

VTP TRANSPARENT MODE

 

vlan을 생성하고 도메인 이름을 바꾸며, 최신 업데이트 상태의 척도인 가장 높은 Revision Number를 가지고 있는 스위치이다. vlan에 관한 모든 정보를 NVRAM에 저장해 스위치를 재기동해도 여전히 정보는 손실되지 않는다.

 

 

vlan을 구성하거나 삭제할 수는 없지만, server로부터 vlan 정보를 받아와 업데이트하거나, 다른 스위치에게 전달해준다. vlan 정보를 NVRAM에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리부팅할 경우 정보가 삭제된다. 주로 메모리가 적은 스위치에 유리한 모드.

 

 

독자적으로 vlan 구성이 가능하며 삭제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의 vlan 정보나 업데이트 등을 일절 무시하고 단순히 다른 스위치로 넘겨주는 역할만을 한다. 로컬 스위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모드.

 

 

 가령, 다음과 같은 스위치 링크가 있다고 해보자.

 

sw1 : [mode : server / config revision : 3 / vlan : 1,2,3,4]

sw2 : [mode : client / config revision : 1 / vlan : 1]

sw3 : [mode : transparent / config revision : 0 / vlan : 1]

 

처음 링크를 연결하고 스위치를 구동시키면,

 

1.server mode를 가지고 있는 sw1에서 summary advertisement를 보낸다.

 

2.이를 받는 sw2client mode 이기 때문에 revision number를 비교한다.

 

3.sw2는 자신보다 최신 revision number를 가진 sw1에게 advertisement request를 보내서 세부적인 정보를 요청한다.

 

4.sw1은 이를 받고난 뒤 다시 한 번 summary advertisement와 함께 subset advertisement를 보낸다.

 

5.이에 sw2는 config revision을 3으로 업데이트하고, vlan 정보 또한 sw1 과 같은 내용으로 업데이트 한다.

 

6.반면 sw3은 2번의 상황에서 transparent mode 이기 때문에 이를 업데이트 하지않고 다른 링크로 전해주는 역할만을 한다.

 

 

 

 

 

 

반응형

'네트워크 > CCNP'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319] CCNP 300-115 풀이 (21-30)  (4) 2016.03.20
[150315] CCNP 300-115 풀이 (11-20)  (0) 2016.03.16
[150315] CCNP 300-115 풀이 (1-10)  (1) 2016.03.15
[160315] CCNP SWITCH 덤프  (4) 2016.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