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319] CCNP 300-115 풀이 (21-30)
Q21)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LAN 기반에서 작동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SDM VLAN template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스위치의 CPU가 작동중에 사용률이 치솟았다. 무엇이 원인인가?
A) C
.....SDM template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ㅠㅠ.. 구글링 해봐도 매니지먼트 툴이라는 설명밖에는 못찾겠는데, 이부분도 차차 알아보기로..
Q22) 접속 스위치에 이더 채널 포트를 설정했다. 이 포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SPAN 설정을 했는데, 네트워크 관리자는 모든 트래픽이 서버로 복제되지 않음을 알았다. 무엇이 원인인가?
A) C
SPAN 혹은 RSPAN 에서는 분석의 대상이 되는 Source Port, 분석 대상의 복제된 트래픽을 받아오는 Destination Port가 존재한다. 여기서 EtherChannel (port channel)은 Source port가 될 수는 있지만, Destination port가 될 수는 없다.
Q23) 위 Configuration의 결과로 옳은 것은?
A) B
load-balancing과 EtherChannel 모드가 일치하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load-balancing은 수동, LCAP, PAgP 에서도 모두 동일한 프레임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라미터가 달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Q24)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EtherChannel에 storm-control 기능을 적용했다. 결과로 옳은 것은?
A) D
Storm-control 기능은 특정 링크에 대역폭 대비 일정 퍼센테이지의 트래픽이 발생하면 이를 의심 포트로 설정하고 일부를 DROP 시켜버리는 기능이다. 본래 EtherChannel의 특성상, EtherChannel을 구현한 뒤 내부의 일부 Interface에 Configuration을 적용하면 그 Interface에만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했지만 Storm-control의 경우 특정 Interface만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그룹 전체를 적용하던가, 아예 적용하지 않아야한다.
Q25) NSF의 기능은 무엇인가?
A) D
갑작스럽게 완전히 처음보는 내용이 나와서 당황했다. NSF만 짧게 요약하면 "SwitchOver시에 L3 라우팅 정보를 제공한다." 정도로 이야기할 수 있는데, 처음에는 도저히 뭔소린지 이해가 안됐다. 좀 길지만 설명해보자. NSF와 함께 거론되는 용어는 주로 SSO가 있다.
이중화를 위해서 두 개의 supvisor 스위치가 존재할 때 두 스위치는 서로 다른 모드로 존재한다. 한 스위치는 Active 모드로 실질적으로 평소에 사용되는 스위치고(sup1), 다른 하나는 Standby 모드(sup2)로 Active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할 때 Active 스위치로 변환한다. (stateful Switchover(SSO)가 발생한다고 한다.) 평소에 sup2에서는 sup1의 configuration을 동기화하고 있지만 실제로 라우팅 프로토콜에 동참하지는 않는다. ( = RIB[Routing information Base]의 리빌딩 필요)
정리하면, sup2는 FIB(Forwarding Information Base)는 동기화를 통해 갖고 있지만, RIB의 리빌딩이 필요한 상태이다. 그런데, FIB와 RIB는 서로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데이터다. FIB는 CPU에 간섭하지 않고 단순히 기계적 처리로 데이터를 넘길 수 있는 Data Plane에, RIB는 CPU 여러가지 라우팅 프로토콜과 연결된 라우터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Control Plane에 만들어진다.
이제 흐름 상으로 보자.
sup1의 다운 -> sup2의 모드 변경 -> sup2의 control plane과 data plane 분리 -> 라우팅 재계산 및 data plane의 정보(FIB)로 포워딩 -> 재계산 완료 후 해당 RIB를 기반으로 FIB도 다시 업데이트
볼일보고 계속~
'네트워크 > CCNP'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315] CCNP 300-115 풀이 (11-20) (0) | 2016.03.16 |
---|---|
[150315] CCNP 300-115 풀이 (1-10) (1) | 2016.03.15 |
[160315] CCNP SWITCH 덤프 (4) | 2016.03.15 |
[150822] CCNP SWITCH 개념정리 - 1 (0) | 201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