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4) 썸네일형 리스트형 [150730] OSPF (Open Shortest Path Protocol) [150730] OSPF (Open Shortest Path Protocol) 네트워크 상에 변화를 감지하고 부분적인 변화가 발생할 경우 이에 맞춰서 부분적인 갱신을 자동으로 진행하는 Link State Routing Protocol 네트워크의 특징 또는 구성에 따라서 프로토콜 작동 방식을 유동적으로 적용시키는 OSPF 링크 구분 최단 경로를 측정의 기준이 되는 Link Cost (Path Cost) 동일한 AS number를 가진 그룹 내 네트워크를 그룹화하는 OSPF area ( 2-level 계층 구조 ) 오늘은 먼저 Link State Rounting Protocol에 대해 설명하자면 각 라우터들은 Hello Protocol을 이용하여 자신의 주위에 있는 라우터와 인접 관계를 맺는다. 인접 관계를.. [150730] 라우팅 프로토콜 [150730] 라우팅 프로토콜 주로 라우팅 테이블과 관련한 동작(보수, 유지, 업데이트 등)들은 다양한 방식의 프로토콜로 지정되어 진행된다. 프로토콜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기에 구분하기 쉽게 표로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Static Routing Protocol) 라우팅 방식을 관리자가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다. 쉽게 말해 수동 방식 이라고 할 수 있다. 라우터에겐 부하가 최소화 되며 속도도 상대적으로 빠르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소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직접 제어해야 하기에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하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Dynamic Routing Protocol) 라우터가 자동으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상황에 따라서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소모가.. [150727] 서브네팅과 VLSM [150727] 서브네팅과 VLSM 우리가 업체로부터 받아 쓰는 IP 주소에는 호스트 규모에 따라 구분되는 클래스가 존재한다. IP 주소의 첫 비트를 십진수화 한 숫자의 범위로 구분할 수 있는데, IP 클래스 범위 이론상 주소 범위 A 클래스 0 ~ 127 0.0.0.0 ~ 127.255.255.255 B 클래스 128 ~ 191 128.0.0.0 ~ 191.255.255.255 C 클래스 192 ~ 223 192.0.0.0 ~ 223.255.255.255 위와 같이 구분한다. 그런데, 주소 범위를 잘 보면 가용 호스트 수가 적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소규모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곳에 이러한 클래스들을 그대로 할당하는 것 일까? 그렇지 않다. IP 주소가 부족해지는 시점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