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4) 썸네일형 리스트형 [150816] VLAN 구성과 OSPF - 2 [150816]VLAN 구성과 OSPF - 2 급하게 일이 생겨서 일단 토폴로지만 완성시켰다 그런데 왼쪽 네트워크와 오른쪽 네트워크끼리 통신은 안된다 ㅠㅠ 각 vlan 끼리는 잘되는데.. 아예 해당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로 핑을 못보낸다. 이유는 차차 알아보기로... [150814] VLAN 구성과 OSPF - 1 [150814] VLAN 구성과 OSPF - 1 이번에는 vlan 설정과 ospf 설정을 직접해보려고 한다. 지난 토폴로지 포스팅에서 Frame-relay를 한다고 했지만.. vlan도 그다지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이 들지 않았는지 갑자기 vlan 구성을 해봐야된다는 느낌이 들었다! (...) 그래서 전체적인 토폴로지를 그리다보니 욕심이 생겨 너무 크게 그렸다.. ...... 엄청나게 커져버렸다. 일단 오늘은 Router 0 (이하 R0) 의 구성을 진행했다. 대략적인 상황은 다음과 같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한 장소에서 2개의 부서가 존재하는데 (부서 1 = vlan 10 / 부서 2 = vlan 20) 이 두 곳은 보안상의 이유로 서로 접속이 차단되어야 하며 (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 [150811] 와이어샤크 패킷 분석 -telnet 서버 [150811] 와이어샤크 패킷 분석 -telnet 서버 이번 문제는 조금 간단한 편이다. pcap 파일을 열어서 쭉 훑어보면 telnet 통신을 한 흔적을 알 수 있는데,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면 된다. level 2임에 비해서 비교적 쉬운 편이었다. 1. 텔넷 통신을 분석하라! 전체적인 패킷을 훑어보면, 인증 패킷부터 브로드캐스트 등 다양한 패킷이 오고간다. 그런데 이전에 보지 못했던 패킷이 하나있다. 바로 Telnet! 필터링에 telnet 프로토콜로 통신을 했던 패킷을 검색해보면 상당수의 패킷이 검출된다. 이를 Follow stream 해보면, 위와 같은 내용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 여기서 좀 헤매긴 했다.. 저 패스워드의 일부분을 입력하면 되는데, 이게 인증키와 같은 말일줄은 상상도 ..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