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808] EIGRP 실습
패킷 트레이서 보다는 다이나밉스나 gns3가 더욱 다양한 명령어까지 지원한다고 하기에 앞으로는 gns3를 이용해서 실습하려고 한다.
오늘 실습해볼 내용은 앞서 포스팅했던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한 가지인 EIGRP이다.
물론 콘솔 설정만 하는 것이 아니라, 라우터 초기 설정 등 다양하게 다뤄보려고 한다.
일단 완성 토폴로지는 다음과 같다.
...솔직히 아직 호스트나 스위치의 인터페이스에 아이피를 할당하는 방법을 모르겠다.
토폴로지는 저렇게 생겼어도 사실상 라우터 2개 밖에 없는 point-to-point 토폴로지가 의도치않게 완성됐다.
수동으로 각 인터페이스에 아이피를 할당하는 법은 쉽다.
컨피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Config>
R1#
R1#conf t
R1(config)#int s0/0
R1(config-if)#ip add [ip] [subnetmask]
위와 같이 아이피를 할당해줬으면 해당 인터페이스의 shutdown 상태를 풀어줘야 한다.
R1(config-if)#no shutdown
이렇게 되면 이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인터페이스에 할당시켜주고 깨워주면 된다.
eigrp 설정하는 방법은 CCNA 시뮬 포스팅에서 다룬 적 있다.
그러므로 똑같이 설정을 해주고
show running config로 확인해주면 사진과 같은 목록이 뜨고,
eigrp neighbor가 연결된 순간 두 번째 사진에서
.....Neighbor 192.168.1.1 (Serial0/0) is up : new adjacency
와 같은 문구가 출력된다.
다음 Gns3 포스팅에서는 뭘 해볼까..
'네트워크 > 토폴로지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816] VLAN 구성과 OSPF - 3 (0) | 2015.08.18 |
---|---|
[150816] VLAN 구성과 OSPF - 2 (0) | 2015.08.16 |
[150814] VLAN 구성과 OSPF - 1 (0) | 2015.08.14 |
[150809] EIGRP 실습 (WAN 구성 연습) (0) | 2015.08.09 |